디어유는 SM의 자회사로 아티스트 전용 팬 커뮤니티 플랫폼 회사다. 디어유 버블은 아티스트와 프라이빗 한 메시지로 소통하는 서비스로 팬과 아티스트 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디어유 버블은 월구독형 서비스이며, 디어유의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어유 매출=디어유 버블 매출이라고 보면 된다.
디어유는 1분기 실적은 117억, 영업이익 45억, OPM 39%다. 작년에 흑자전환으로 성공한 후에 실적이 꾸준히 상승중이다.
디어유 버블의 구독자수가 130만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이미 어느정도 구독자수를 확보했기 때문에 매출을 추가로 점프시킬 수는 없다.
마이홈 서비스가 새롭게 선보일 예정인데 마이홈은 개인 가상공간에 스타와 관련된 아이템을 구매하여 꾸미는 서비스다. 가상공간에 대한 구독료와 아이템 구매로 인한 매출이 발생할 것인데, 팬덤의 영향력을 볼 때 이 서비스도 만만치 않은 매출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기대하는 추가 서비스는 디어유 버블에서 별풍선 기능 도입이다. 스타가 라이브 방송을 할 때 별풍선을 쏘면 그 수수료를 가져가는 구조로 아프리카TV의 별풍선 서비스와 유사하다. 팬들이 스타에게 별풍선을 얼마나 쏠까? 아마도 어마무시하게 쏠 것으로 예상된다.
디어유는 기존 디어유버블의 성장과 함께 새로운 서비스들이 추가되면 매출 점프업이 예상된다.
드디어 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6개월의 준비기간 후에 2023년부터 발효된다.
수소관련주들의 긴 조정이 이제 끝이 보인다.
수소산업의 핵심소재주인 불소수지 멤브레인의 상아프론테크, 탄소섬유의 효성첨단소재, 수소탱크의 일진하이솔루스, MEA의 비나텍까지 이 4개 기업만 주목해도 된다.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원욱·송갑석·정태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대표발의, 이하 수소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업계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부 주도의 수소산업 육성 계획을 구체화하는 법인 만큼 수소연료전지발전 등 관련 사업을 준비 중인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가 예상된다.
특히 SK·현대자동차·포스코·한화·효성 등 대기업들이 계획하고 있는 43조원 규모의 수소경제 투자가 본격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상향된 RPS 비율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들의 부담도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30일 업계와 국회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 29일 수소법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지난해 7월 상정돼 1년 가까이 계류된 끝에 국회의 문턱을 넘은 것이다. 과반 의석을 차지한 더불어민주당이 찬성하고 윤석열 정부 역시 수소산업 육성을 11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킨데다 추경안 합의를 앞두고 상정된 모든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수소법도 무난히 의결됐다. 업계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며 반기는 분위기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수소 육성 기조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시행 유예기간이 6개월인 이 법안은 연말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올해를 기점으로 청정수소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 2020년 9000만톤(t)이었던 전 세계 수소 수요가 2030년 2억톤, 2050년엔 5억3000만톤으로 늘어날 걸로 전망된다.
지난해 정부 계획에 따르면 국내 수소 사용량은 현재 22만톤에서 2030년 390만톤, 2050년 2700만톤으로 늘어나는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청정수소 비율은 현재 거의 0%에서 2050년 100%로 높이지게 된다. 국회의 수소법 개정과 윤석열 정부의 수소산업 육성계획에 더해, 국제적으로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수급 차질을 빚고 있는 화석연료를 대신해 여러 국가가 수소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키우려는 상황인 것이다.
SK와 두산그룹 등 업계는 이번 법안 통과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이미 국내 수소연료전지 발전 밸류체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료전지 외에도 탄소중립 실현과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청정수소 생산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법 개정에 따른 수혜를 직접적으로 볼 것으로 관측된다.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글로벌 리더인 인슐렛의 시총은 PSR 10이며, 연속혈당측정기 리더인 덱스컴은 PSR13이다.
올해 이오플로우 매출 목표인 100억에 PSR 10을 적용하면 하면 올해는 시총1조까지를 최소 목표가로 산정할 수 있겠다.
이오플로우가 인슐렛과 차이점은 웨어러블 약물주입 플랫폼으로 다른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만약을 개발하고 있는 산플레나가 대표적이다. 이 파이프라인도 기존의 삭센다 대비 시간과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시장에 출시하기만 한다면 큰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상상인증권에서는 이오패치 국내건강보험 적용은 정권교체로 인해서 지연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었으므로 국내적용도 시간문제일뿐 된다고 보고 있다.
메나리니는 상반기에 유럽 5개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아서 판매 진행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추가로 6개국 정도 품목허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