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ALT-B4의 1조 6,000억원대 기술수출로 알테오젠(196170)의 기술력이 어느정도 입증됐다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글로벌 톱 텐 제약사와 3~4건의 기술수출을 추가로 진행하려 합니다.”

기술수출을 한다는 말이 계속 나오고 있다. 그리고 항상 하는 말은 글로벌 탑10 제약사이다. 글로벌 탑10 회사 중에서 이미 한 곳은 수출하였으니 9곳 중에서 4건을 더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탑10 중에서 반이 알테오젠의 기술이 탐나는 것이다. 

박 대표는 “협상 자체가 2개월 내 끝날 정도로 빠르고 순조롭게 진행됐다”며 “향후 히알루론산 시장은 5년 내 1조원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보는데, 이 중 2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이렇게 얻은 자금을 통해 신약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혈우병 치료제와 유방암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박 대표는 “설립한지 10년이 지났는데, 향후 10년 뒤에는 플랫폼 기술과 바이오시밀러 등 캐시카우를 통해 4~5,000억원의 매출을 꾸준히 올리는 가운데 신약을 얹는 전략을 세워놨다”며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유행으로 많은 이들이 힘들어하고 있고, 글로벌 제약사에서도 여행 자제령이 내려졌지만, 쌓아둔 기술력으로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할로자임이 시장 선두주자이니 현재 10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 대적할 수 있는 업체는 세계에서 알테오젠 밖에 없다. 알테오젠이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홍보자료에 의하면 할로자임보다 더 진보한 기술이라고 한다. 그래서 빅파마들이 군침흘리고 있는 것이 아닐까? 

https://www.sedaily.com/NewsVIew/1Z1N03MVO2

 

'플랫폼 기술'로 힘받는 바이오벤처

제약바이오업계가 플랫폼 기술에 빠졌다. 플랫폼 기술은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는 것과는 달리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높이거나 효능을 높이는 등 약물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기술이다. 원천 기술 하나만 ..

www.sedaily.com

기사에서 박순재 대표의 말로 유추해보면 협상 자체가 끝났다는 말은 계약서 작업만 남았다는 것이다.

계약서 작업은 이전 LO를 근거로 판단해보면 3개월 정도 소요되었으니 여름 전에 알테오젠 계약 공시가 최소 하나는 발표할 것이라도 생각한다.

그리고 지난번과 비슷한 수준의 기술수출이라면 약 5조원이다. 알테오젠 현재 시총 1.3조이니 아직 갈 길이 멀다.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0024

 

알테오젠, '피하제형 기술' 첫 마일스톤 300만弗 수령

알테오젠이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수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 기술과 관련해 첫번째 마일스톤을 수령했다.알테오젠은 9일 인간 히알

www.biospectator.com

알테오젠이 마일스톤을 받았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크다고 생각한다. 계약이 사실이며 상대방이 알테오젠의 기술로 임상을 준비중이라는 뜻이다. 

유럽에서 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정맥주사를 맞으러 병원에 갈 수가 없다고 한다. 알테오젠의 기술이 절실히 필요해지리라 생각한다. 

알테오젠으로 텐버거를 꿈꾼다. 글로벌 빅파마가 누구일지도 궁금하다. 10대 빅파마 중 한 곳이라던데..

 

최근 들어 공시지가 인상과 부동산 소유자에 대한 세금 압박이 심해지고 있어서 미래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국 주식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여러 카페와 블로그들을 보다가 소수몽키라고 불리는 분이 미국 배당주에 대해서 잘 아신다고 알게 되어 책을 사서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이 책은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가 보기에는 정말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국주식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책에서 독자에게 많은 인사이트를 주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도표와 기업 소개에 너무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지 않나 하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유용한 부분은 다양한 사람들의 포트폴리오와 블로그 유용한 사이트들과 세금에 관련된 내용이 정리가 잘되 어 있습니다. 어느 정도 안다면 그 부분만 봐도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분야별 1위 기업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분야 중에서도 일반적인 분야말고 미래에도 사람들이 많이 찾고 선호할 만한 분야만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미 1위인 기업도 안정적이지만 안정성 뿐만이 아니라 성장성도 찾기 위해서 입니다.  

승자독식이라는 말처럼 1위 기업에 투자하면 우리도 그 혜택을 같이 누릴 수 있지 않을까요?



영화 콘텐츠 세계 1위: 디즈니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 세계 1위: 넷플릭스

쇼핑, 크라우드, 게임 영상(트위치) 세계 1위: 아마존

전 세계 게임 매출 1위: 텐센트

스마트폰 영업이익률 세계 1위: 애플

커피업계 세계 1위 : 스타벅스

전기차 세계 1위 : 테슬라

유전자분석 세계 1위 : 일루미나

음원스트리밍 세계 1위 : 스포티파이

공유자동차 세계 1위 : 우버


최근에는 미국 주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투자방향을 선회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미국주식은 스타벅스만 매수하고 있었으나 작년의 한국시장의 불안정성 때문에 미국시장으로 비중을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연금 대신에 저는 미국 배당으로 미래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올해 1월부터 지금까지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 배당금
$23.25

매월 배당으로 23불이 나옵니다. 미약한 돈입니다. 하지만 스노우볼처럼 언젠가는 큰돈이 되길 바랍니다.

월 배당금50달러100달러200달러300달러400달러
$50.0024162362620
$100.00449149916652
$200.00657271178133107
$400.00868424300234193
$800.00-601453370315

현재 투자금액 기준으로 매월 발생하는 배당금과 함꼐 매월 0달러부터 400달러까지 투자하였을 때 월 배당금이 50불, 100불, 200불, 400불, 800불이 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았습니다.

현재 투자금액으로 배당금만 가지고 재투자했을 때는 한마디로 답이 없습니다. 월 배당금이 400불이 되는데 지금부터 약 70년이 넘게 걸리니깐요. 그 때는 제가 생존하고 있지 않을 확률이 더 높을거같군요.

그럼 배당금과 함께 매월 400달러는 투자했을 때의 결과를 보겠습니다.

50불까지 되는데 20개월이 걸립니다. 그리고 800불이 되기까지 26년 정도가 걸리는군요. 

800불 정도면 입에 풀칠은 할 수 있을거같습니다. 

하지만 제 목표는 풀칠이 아니기에 다른 방안이 필요합니다.

일단 올해 상반기까지 50불을 만드는 것인데 그럴려면 남은 상반기 3개월을 20개월처럼 살면 됩니다(?). 어떻게든 치열하게 살아서 목표를 달성해보겠습니다.




어제 두 번째 배당을 받았습니다.

생각지도 않고 있다가 자주 가는 카페에서 스타벅스 배당금이 들어왔다는 것을 보고 알았습니다.

저번 배당금과 비교해서 1달러 정도 증가하였네요.


올해는 목표가 20달러까지인데 가능하겠죠?


스타벅스가 커피의 본고장인 이탈리아에 드디어 1호점을 열었는데 장사가 아주 잘된다는 기사입니다.

주주로써 아주 흐뭇합니다. 역시 커피는 스벅이죠.


[인싸Eat]한달에 5만잔...깐깐한 이탈리아도 '스벅'에 줄섰다

이탈리아의 일간지 일 폴리오(Il Foglio)는 지난 17일 스타벅스 1호점이 주말에는 긴 줄 때문에 입장이 힘들 정도라고 전했습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22200335817193



스타벅스가 18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의 성장이 상승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스타벅스(SBUX) 주가는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해 3.63% 상승했다. 

스타벅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한 66억3천만 달러를 기록해 예상치(64억9천만 달러)를 하회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75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0.65달러)를 상회했다. 

글로벌 비교매장 매출이 시장 전망치(2.9%)를 상회하는 4%를 기록한 것이 주가 상승에 기여했다.


미래컴퍼니의 주가가 계속 지지부진합니다. 

빨리 레보아이가 선전하여 주가가 회복하길 바랍니다.

그와중에 연말에 미래컴퍼니의 배당이 있었습니다.

주당 0.04주입니다. 시중금리로 치면 4%의 금리입니다. 시중금리보다는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주가가 고점 대비 너무 많이 빠져서 은행보다 낫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도 주주를 위해 배당도 하고 영업이익과 성장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니 올한해 기대해보겠습니다.



오늘 첫 배당금을 받았습니다.

어떤 기업일까요? 바로 커피업계의 대명사인 별다방으로 불리는 "스타벅스"입니다.

아직 보유량이 많지 않아 배당금은 아메리카노 2잔 정도입니다. 매달 꾸준히 사모아서 언젠가는 이 배당금이 아메리카노 10잔, 20잔, 100잔, 1000잔 정도가 되는 날을 기대합니다. 

스타벅스는 제가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회사입니다. 제가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을 선정하는 방법누가 생각해도 절대 망하지 않을 것 같은 기업을 사는 것입니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생각이 바로 가장 효율적인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삶이 윤택해지고 여가시간을 많이 찾다보니 자연스레 커피도 많이 사먹게 되지요. 한국만 해도 불과 10년 전에는 이렇게 커피를 많이 먹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남녀노소 상관없이 다 커피숍에 가서 얘기를 하고 차를 한잔씩 마시죠. 예전에는 정말 어디서 이렇게 많은 수다를 떨었는지 궁금하네요. 

한국의 커피업계의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스타벅스가 가져간다는 기사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2017년 매출 1조2634억원을 기록한 데 비해 2~6위 다섯 회사 매출은 모두 합해도 8200억원에 불과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7&year=2018&no=231863

스타벅스는 중국 시장에서도 대단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점유율이 무려 80%에 달합니다. 중국의 인구수와 중국은 전통적으로 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민족임을 감안해본다면 엄청난 수치입니다.

스타벅스의 중국 시장점유율은 2015년 73%에서 지난해 81%로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이런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 현재 17개 도시(1100개 매장)에서 시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연말 30개 도시(2000개 매장)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42415

스타벅스의 주가를 보면 크게 2000년 후반부터 그래프가 치솟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삶에서 커피를 많이 찾게된 시기부터죠. 스타벅스는 장기투자하는 기업인만큼 새로운 뉴스가 나오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