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동안 코스피 시총이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자.

시장에 돈이 많이 풀린 탓에 전반적으로 기업들의 덩치가 커졌다. 

코스피는 상반기와 비교해서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약진이다. 이것은 반도체와 자동차가 좋아질 것이라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자동차는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아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봐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LG화학이 시총4위로 올라섰다고 볼 수 있다.

코스피 2021.01.01 2020.07.01 2020.01.02
1 삼성전자 (483조) 삼성전자 (314조) 삼성전자 (333조)
2 SK하이닉스 (86조) SK하이닉스 (62조) SK하이닉스 (69조)
3 삼성전자우 (60조) 삼성바이오로직스(50조) 삼성전자우 (37조)
4 LG화학 (58조) Naver (44조) Naver (30조)
5 삼성바이오로직스(54조) 셀트리온 (40조) 삼성바이오로직스(29조)
6 셀트리온 (48조) 삼성전자우 (38조) 현대차 (26조)
7 Naver (48조) LG화학 (35조) 현대모비스 (24조)
8 삼성SDI (43조) 삼성SDI (25조) 셀트리온 (23조)
9 현대차 (41조) 카카오 (24조) LG화학 (22조)
10 카카오 (34조) 삼성물산 (21조) 포스코 (21조)

 

코스닥은 상반기와 비교해서 셀트리온그룹의 독주다. 코로나백신 임상 때문에 많은 기대감을 받고 있다. 그리고 새롭게 상장한 카카오게임즈가 8위에 올라섰고, 5G 대장주인 케이엠더블유가 시총 10위로 올라왔다. 2021년에는 5G도 이제 랠리를 시작할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코스닥 2021.01.01 2020.07.01 2020.01.17
1 셀트리온헬스케어 (24조) 셀트리온헬스케어 (16조) 셀트리온헬스케어 (7.9조)
2 셀트리온제약 (8.5조) 에이치엘비 (4.6조) 에이치엘비 (4.6조)
3 씨젠 (5조) 셀트리온제약 (4.3조) CJ ENM (3.4조)
4 알테오젠 (5조) 알테오젠 (3.6조) 펄어비스 (2.5조)
5 에이치엘비 (4.8조) 씨젠 (3조) 스튜디오드래곤 (2.4조)
6 SK머티리얼즈 (3.7조) 펄어비스 (2.7조) 케이엠더블류 (2.2조)
7 에코프로비엠 (3.5조) 에코프로비엠 (2.5조) 메디톡스 (2조)
8 카카오게임즈 (3.4조) CJ ENM (2.4조) 파라다이스 (2조)
9 펄어비스 (3.4조) 스튜디오드래곤 (2.4조) SK머티리얼즈 (1.9조)
10 케이엠더블유 (3.2조) SK머티리얼즈 (2.2조) 솔브레인 (1.8조)

 

2021년 투자전략은 반도체, 전기차, 자율주행차, 5G, 바이오를 눈여겨보자.

추가로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도 관심을 가지자.

2020년 12월 31일 증시는 열리지 않았으나 인텍플러스가 오랜만에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검사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상대방은 중국기업인 BEIJING C&W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으로 계약 규모는 39억원 규모의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공급계약이다.

인텍플러스는 반도체가 메인이며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으로 검사장비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진행될수록 검사장비의 중요성이 대두되므로 현재보다 미래에 관심을 많이 가져야할 기업이다.

내년에도 인텍플러스는 꾸준히 지켜보자.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자율공시)

1. 판매ㆍ공급계약 내용 디스플레이 외관 검사 장비
2. 계약내역 조건부 계약여부 미해당
확정 계약금액 3,869,928,000
조건부 계약금액 -
계약금액 총액(원) 3,869,928,000
최근 매출액(원) 40,530,902,130
매출액 대비(%) 9.55
3. 계약상대방 BEIJING C&W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최근 매출액(원) -
-주요사업 디스플레이 사업 agency
-회사와의 관계 -
-회사와 최근 3년간 동종계약 이행여부 미해당
4. 판매ㆍ공급지역 중국
5. 계약기간 시작일 2020-12-30
종료일 2021-05-02
6. 주요 계약조건 -
7. 판매ㆍ공급방식 자체생산 해당
외주생산 미해당
기타 -
8. 계약(수주)일자 2020-12-30
9.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계약 총 금액은 USD 3,540,000 이며, 상기 계약금액은 서울외국환중개(주)가 고시하는 2020년 12월 30일의 매매기준율 1,093.2원/USD를 적용하였습니다.

- 최근 매출액은 2019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입니다.

- 상기 장비는 중국 충칭 사업장에 설치 예정입니다.

- 상기 계약내용은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관련공시 -

 

하이투자증권에서 2차전지 시장에 대한 리포트가 나왔다.

2차전지_하이투자증권.pdf
1.00MB

 

리토트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 현재 유럽에 2차전지 공장 증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바이든 대통령의 Re-shoring 정책으로 인해 미국에도 2차전지 공장이 향후 증설될 것이다. 
  • 현재 2차전지 업체들의 Capa 계획만으로는 2024년부터 공급부족 현상 발생 -> 추가 증설 기대 -> 소부장 업체 호황
  • 과거 반도체 시장을 뒤돌아보면 일본소재기업들은 시가총액 10배 상승

소재기업들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는 것이 그 결론이다.

아래 국내 3사 및 테슬라, 유럽생산기지의 공급망을 보면 천보는 유럽현지공장을 제외하고는 국내3사 및 테슬라모델 전부에 전해질 및 첨가제를 납품한다.

천보는 2차전지 성장의 모든 이익을 다 누릴 수 있는 기업이다. 그리고 소재업체 중에서 영업이익률로 유일하게 20%대이며, 공장증설을 공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1위 업체로 도약할 준비가 되어 있다.

아직도 전세계 전기차 보급률은 5%에 불과하다. 2025년에는 최소한 20%에 도달할 것이라고 하니 아직 3배나 더 성장가능하다는 의미다. 

천보 지금 잠시 쉬는 중이다. 내년에는 다시 주가가 크게 치솟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최대 바이오 행사인 ‘2020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콘퍼런스(KBIC 2020)’에서 알테오젠의 이민석 전무가 나와서 알테오젠의 파이프라인과 경쟁력에 대해서 소개했다.

 

 

 

 

ALT-P7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ADC 임상이기 때문에 어려운 점도 많았지만 결과는 좋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알테오젠의 ADC기술 경쟁력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주었다.

ALT-B4의 장점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설명해주었다. 그리고 왜 기술이전한 업체를 공개할 수 없는 사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는데 그 사유는 해당 제약사가 SC제형 의약품을 만드는 것을 비밀로 해야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떄문에 그렇게 요청했다고 한다. 그리고 투자자들의 가장 관심사인 기술이전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여러번 밝혔던 것처럼 올해 2~3건의 기술이전을 추진중인데 사정이 생겨 지연이 되었으나 곧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라고 했다. 곧 이라고 했으니 늦어도 내년 1분기 이내에는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

ALT-BB4(테르가제)는 기존 동물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는 불순물이 많아서 부작용이 많은데 ALT-BB4 는 순도99.9%이기 떄문에 부작용은 거의 없으며 1조 시장에서 큰 경쟁력이 있다고 소개했다. 그리고 내년 하반기에는 상업화 예정이며 바로 시장에 진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IR자료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에 그동안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IR에 대한 내용을 듣지 못했던 사람들은 꼭 시청해보길 바란다.

 

www.youtube.com/watch?v=HpwhI3XUbmI

 

하나금융투자에서 박셀바이오에 대한 리포트가 나왔다.

박셀바이오_하나금웅투자.pdf
0.71MB

 

이번 리포트에는 중요한 내용이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박셀바이오 파이프라인의 상업화 시점에 대한 분석이고 또다른하나는 박셀바이오가 현재 주목받고 있는 이유인 Vax-NK의 임상 디자인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박셀바이오의 파이프라인 상업화 시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장 먼저 상업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다발골수종 치료제인 Vax-DC으로 2021년에 라이센스 아웃을 예상하고 있다. 그 후 비슷하게 교모세 포종 치료제인 Vax-NK+DC, 췌장암, 난소암치료제인 Vax- CAR-T에 대해서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면서 라이센스 아웃을 한다. 세포암 환자 대상의 Vax-NK는 임상 2b상 완료 이후 조건부 승인을 통해 2024년 상업화를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박스루킨-15를 반려동물 전용 항암 면역치료제로 개발중인데 이것 또한 시점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조기 상업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빠르면 내년부터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게 된다. 그때부터 박셀바이오는 매출이 발셍하는 바이오기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Vax-NK가 임상이 별 문제없이 추진되어 라이센스 아웃하게 되는 시점이 박셀바이오의 주가가 가장 빛이 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

 

 

 

두번째로 박셀바이오의 주력파이프라인인 Vax-NK의 임상디자인에 대해서 살펴보자.

임상1상은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HAIC 요법)과 5회 Vax-NK 세포 투여를 병용한 디자인으로 11명의 진행성 간세포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임상1상 결과는 ORR이 72.7%로 간암표준치료제인 넥사바(성분명 소라페닙)와 비교해서 3배이상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소라페닙은 2007년 허가를 받고 13년간 1차 표준치료제로 사용돼 온 간세포암 치료제이다.

생존기간 동안 40개월로 소라페닙의 13배가 넘는 엄청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임상 2a상에서는 20명의 진행성 간세포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1상보다 Vax-NK 세포 5회 투여가 추가 (5 공고요법)된 디자인으로 화순전남대학교병원과 성모병원에서 2019년 10월부터 진행하고 있다.

바로 이 임상2a상에서 6월에 첫번째 환자로부터 완전 관해 반응이 나왔다.

그것때문에 박셀바이오의 주가가 치솟고 있는 것이다.

임상1상보다 더 빼어난 데이터가 나온다면 간암치료제의 표준을 바꿀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 될 것이다.

Vax-NK를 가장 주시하면서 나머지 파이프라인들의 글로벌임상 진행과 라이센스 아웃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해보자.

 

엘엔케이바이오의 관계사인 루트락이 코넥스 시장에 24일 상장했다. 엘앤케이바이오는 지분율이 39.44%로 루트락의 최대주주이다.

엘앤케이바이오가 척추임플란트전문업체라면 루트락은 인공무릎관절 전문업체다.

루트락은 2018년 9월에 국내 기업 중 두 번째로 인공무릎관절 제품이 FDA 승인을 받았으며 내년 상반기에 미국에 출시한다. 

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취득했다. '센트락'이란 상표로 국내 대학과 정형외과 전문병원 등에 납품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센트락이란 상표로 이미 판매하고 있다.

지분율이 50% 미만이라서 관계사이지만 엘앤케이바이오와 사업적 측면에서 시너지가 잘 나올 것 같아보이므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자.

 

 

척추임플란트 전문기업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관계사인 루트락이 코넥스에 상장했다고 24일 밝혔다.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지난 2014년 공동투자로 루트락 설립을 주도했으며 현재는 39.44%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이다.

루트락은 인공무릎관절과 척추 임플란트를 제조·판매하는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2018년 9월에 국내 기업 중 두 번째로 인공무릎관절 제품에 대한 FDA(미국식품안전처)의 승인을 취득하고 ‘센트락(CentLoc)’이란 상표로 국내 유수의 대학과 정형외과 전문병원 등에 납품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시장에 본격 출시할 예정이다.

루트락은 무릎인공관절 외에도 제품 개발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사와 기술제휴를 통해 엉덩이 고관절(Hip)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FDA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정형외과 수술에서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과 재수술 문제 등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가 포함된 항균성 본 시멘트(Bone Cement)도 개발이 완료돼 마무리 시험절차를 거친 후 내년 2월 출시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루트락은 신제품군의 개발이 완료될 경우 체내삽입용 의료기구 전 라인업을 완성하게 돼 경쟁력이 한층 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루트락 관계자는 “인공관절 분야의 전문성과 국내 영업 네트워크의 강점을 가진 루트락과 척추임플란트 분야의 전문성, 특히 미국 등 해외시장의 판매 네트워크를 가진 최대주주 엘앤케이바이오메드와 제품 생산과 판매의 협업체제를 구축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박종진 대표는 또 “최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인공무릎관절 수술이 크게 늘면서 인공관절 제품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다”며 “철저한 품질관리와 제품 업그레이드를 통해 보수적인 의료기기 시장에서 점차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향후 2년 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10115

 

엘앤케이바이오메드, 관계사 루트락 코넥스 상장 - 메디컬투데이

척추임플란트 전문기업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관계사인 루트락이 코넥스에 상장했다고 24일 밝혔다.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지난 2014년 공동투자로 루트락 설립을 주도했으며 현재는 39.44%의 지

www.mdtoday.co.kr

 

세계 1위 기업들을 업데이트했다.1등이 1등을 지키기 위해서 더 열심히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1등기업만 투자해도 성공한다.

 

 

  • 영화 콘텐츠 세계 1위: 디즈니
  •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 세계 1위: 넷플릭스
  • 쇼핑, 클라우드, 게임 영상(트위치) 세계 1위: 아마존
  • 전 세계 게임 매출 1위: 텐센트
  • 스마트폰 영업이익률 세계 1위: 애플 (세계에서 제일 비싼 기업)
  • 커피업계 세계 1위 : 스타벅스
  • 전기차 세계 1위 : 테슬라
  • 유전자분석 세계 1위 : 일루미나
  • 음원스트리밍 세계 1위 : 스포티파이
  • 공유자동차 세계 1위 : 우버
  • 숙박공유 세계 1위: 에어비앤비
  • SNS 세계 1위: 페이스북
  • 간편결제 세계 1위: 페이팔
  • 스포츠용품 세계 1위: 나이키
  • 신용카드 세계 1위: 비자

 

스위스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redit Suisse Group AG)가 엘앤케이바이오의 5% 주주에 이름을 올렸다.

크레디트스위스는 12월 23일 엘앤케이바이오의 지분 5.06%(671,163주)를 보유했다고 23일 공시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지분 변동 사유에 대해 "경영참가 목적은 없으며, 장내매수를 통한 단순 취득"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단순투자이기 때문에 엘앤케이바이오의 가치가 현재는 저평가되어있다고 판단하여 향후 성장성이 크다고 생각다고 지분 투자를 했다고 판단해볼 수 있다.

 

 

아래 확인서를 통해 경영참가 목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박셀바이오가 큐로진생명과학 대표이사를 지낸 장희순 박사를 영입하여 CSO로 임명하였다.

장희순 CSO를 통해 주력파이프라인인 Vax-NK의 라이센싱아웃 추진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Vax-NK는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임상2상 진행중이며 선천면역세포 중 하나인 자연살해세포를 이용한 항암면역치료플랫폼이다. 최근에 임상2상에서 완전관해가 나와서 시장에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기도 하다.

 

 

항암면역치료제 개발기업 ㈜박셀바이오가 전략최고책임자(CSO)로 큐로진생명과학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했던 장희순 박사를 지난 21일 영입했다.

박셀바이오는 장 대표의 영입 배경을 "파이프라인의 기술수출 등 사업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라고 23일 밝혔다.

장 신임 CSO는 연세대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펜실베니아대에서 박사 후 과정, 하버드대에서 리서치 펠로우십 등 연구활동을 지속해왔다. 씨드모젠에서는 지난 2018년 4월부터 전무이사로서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과정 등을 총괄했다. 2018년 10월부터 2년간 큐로진생명과학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이준행 박셀바이오 대표는 "글로벌 대기업부터 벤처기업까지 다양한 조직을 경험한 만큼 박셀바이오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줄 것"이라며 "자사의 Vax-NK등 파이프라인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newsis.com/view/?id=NISX20201223_0001280393&cID=10401&pID=10400

 

박셀바이오, 신임 CSO에 큐로진생명과학 장희순 전 대표

[서울=뉴시스] 이승주 기자 = 항암면역치료제 개발기업 ㈜박셀바이오(323990)가 전략최고책임자(CSO)로 큐로진생명과학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했던 장희순 박사를 지난 21일 영입했다

www.newsis.com

 

애플이 2024년까지 자체 설계한 전기차 배터리를 탑재한 자율주행 차량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한다.

애플의 자율주행차 프로젝트명은 타이탄으로 2014년부터 시작했다. 애플의 자율주행차는 승객을 태우는 로보택시를 만드는 구글의 웨이모와 달리 개인용 차량으로 개발되고 있다.

애플이 자체설계하는 배터리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일반적으로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화재 위험이 적은 대신 주행거리가 짧다. 애플은 배터리 재료를 담는 파우치 등을 없앤 ‘모노셀’ 디자인을 적용해 LFP 배터리의 주행거리를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애플의 자율주행 기술은 테슬라와는 달리 다른 업체들처럼 라이다센서를 사용한다. 다수의 라이다센서를 사용해서 사물과 도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달린다.

애플이 자율주행차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지만 자율주행차 시장은 과거 스마트폰 시장처럼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시장이 될 것인만큼 애플도 뛰어들거라고 판단한다.

휴대폰을 한번도 만들지 않았던 애플이 스마트폰에서 성공했던 것처럼 자동차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다가오는 미래에 화두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다.

자율주행차 관련주를 제대로 살펴본 시점이 다가온 것 같다.

 

 

 

 

Apple Inc is moving forward with self-driving car technology and is targeting 2024 to produce a passenger vehicle that could include its own breakthrough battery technology,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told Reuters.

The iPhone maker’s automotive efforts, known as Project Titan, have proceeded unevenly since 2014 when it first started to design its own vehicle from scratch. At one point, Apple drew back the effort to focus on software and reassessed its goals. Doug Field, an Apple veteran who had worked at Tesla Inc, returned to oversee the project in 2018 and laid off 190 people from the team in 2019.

Since then, Apple has progressed enough that it now aims to build a vehicle for consumers, two people familiar with the effort said, asking not to be named because Apple’s plans are not public. Apple’s goal of building a personal vehicle for the mass market contrasts with rivals such as Alphabet Inc’s Waymo, which has built robo-taxis to carry passengers for a driverless ride-hailing service.

Central to Apple’s strategy is a new battery design that could “radically” reduce the cost of batteries and increase the vehicle’s range, according to a third person who has seen Apple’s battery design.

Apple declined to comment on its plans or future products.

Making a vehicle represents a supply chain challenge even for Apple, a company with deep pockets that makes hundreds of millions of electronics products each year with parts from around the world, but has never made a car. It took Elon Musk’s Tesla 17 years before it finally turned a sustained profit making cars.

Apple has decided to tap outside partners for elements of the system, including lidar sensors, which help self-driving cars get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road, two people familiar with the company’s plans said.

Apple’s car might feature multiple lidar sensors for scanning different distances, another person said. Some sensors could be derived from Apple’s internally developed lidar units, that person said. Apple’s iPhone 12 Pro and iPad Pro models released this year both feature lidar sensors.

Reuters had previously reported that Apple had held talks with potential lidar suppliers, but it was also examining building its own sensor.

As for the car’s battery, Apple plans to use a unique “monocell” design that bulks up the individual cells in the battery and frees up space inside the battery pack by eliminating pouches and modules that hold battery materials, one of the people said.

Apple’s design means that more active material can be packed inside the battery, giving the car a potentially longer range. Apple is also examining a chemistry for the battery called LFP, or lithium iron phosphate, the person said, which is inherently less likely to overheat and is thus safer than other types of lithium-ion batteries.

 

www.reuters.com/article/us-apple-autos-exclusive/exclusive-apple-targets-car-production-by-2024-and-eyes-next-level-battery-technology-sources-idUSKBN28V2PY

 

Exclusive: Apple targets car production by 2024 and eyes 'next level' battery technology - sources

Apple Inc is moving forward with self-driving car technology and is targeting 2024 to produce a passenger vehicle that could include its own breakthrough battery technology,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told Reuters.

www.reuters.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