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2차전지 소재 리포트를 보자.

2차전지소재_20211203_Korea.pdf
0.34MB

 

2차전지주의 약세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첫번째는 한국 소재주들이 중국 소재주 대비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차량생산 및 판매 둔화다.

하지만 위 2가지 사유는 일시적인 사유에 불과하다. 북미 및 유럽 전기차 업체들은 생산 목표를 상향하였고, 중국업체들보다는 한국업체들과 JV설립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한국 2차전지 소재업체들은 좋다. 

 

 

2차전지 소재주의 하락은 매수 기회다.

그 중에서도 특히 대규모 증설과 하이니켈 뿐만 아니라 하이망간 제품군도 확대한 에코프로비엠과 중국향 물량 증가 및 전해질 첨가제 사업도 진출한 천보를 주목하자.

EV배터리 2022라는 제목으로 나온 이베스트의 뼛속시리트 리포트를 읽어보자.

개인적으로 뼛속시리즈는 관련 산업에 대해서 A to Z까지 이해하기 쉽고도 자세하게 잘 적혀있어서 읽어보기를 적극 권장한다.

뼛속시리즈_I_EV배터리_2022_lg화학_에코프로비엠_skc_천보_ElectricalEquip_20211130_eBEST.pdf
2.16MB

 

 

서플라인 체인이 아주 정리가 잘되어 있다. 출력해두고 계속 볼필요가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국내 소재 업체 Capa를 비교해보자.

동박은 SK넥실리스(SKC)가 2025년에는 Capa가 타사의 2배 정도로 엄청난 증설을 한다. 이 점이 SKC의 투자포인트라고 생각한다. 현재 SKC가 가진 가치에 비해서 솔루스첨단소재와 일진머티리얼즈와 비교했을 때 아주 저평가 상태다. 

양극재는 대표주자인 에코프로비엠이 역시 대장이다.

 

내년도 역시 소재주가 주도하리라 예상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술력과 실적이 뒷받침되는 기업과 LFP배터리 확대에도 수혜를 볼 수 있는 소재주가 그 주인공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이 뽑은 그 주인공들은 에코프로비엠, SKC, 천보, LG화학이다. 이중에서도 기술과 실적을 다 가진 기업은 에코프로비엠과 천보가 아닐까 한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의 소재 납품사로 봐야한다. 양극재 Capa가 2026년에는 26만톤에 이른다. 그리고 분리막, CNT도전재의 소재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차전지 종합소재 기업으로 봐도 무방하다. 

 

 하이니켈 파이가 점점 커지기에 하이니켈 양극재 대량생산 체제를 에코프로비엠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그리고 에코프로CNG를 통한 폐배터리 사업도 진행하기 때문에 내년 전망도 밝다. 

 

SKC는 동박 세계 1위 타이틀을 가져가고, 실리콘 음극재 기업에 대한 투자도 감행함으로써 2차전지 소재 포트폴리오를 2개가 가지게 되었다. 현재 일진머티리얼즈 시총5조, 솔루스첨단소재 시총3조에 비해 SKC는 7.5조 수준이다. 동박 Capa만 비교해도 저평가고 이제 실리콘 음극재 가치도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친환경소재 및 반도체 소재도 있다. 그러니 너무 싸다. 

 

천보는 차세대 전해질, 첨가제 생산 기술을 가지고 있고 LFP배터리 수혜를 받을 수 있다. 

IBK투자증권에서 나온 2차전지 리포트를 읽어보자.

2차전지리튬_가격_상승_전해질_주목_ElectronicEquip_20211125_IBK_752475.pdf
0.45MB

 

2차전지 배터리 핵심원자재 중 하나인 리튬의 가격 상승이 거치없다. 

올해 들어서 거의 3배 가까이 상승했다. 

 

리튬 가격은 전해질과 관련이 크다. 

 

즉, 천보와 후성이 리튬가격 상승의 수혜를 받는다. 

천보는 전해질에 들어가는 전해질염을 생산하고, 후성은 전해질을 생산한다.

전해질 업체들은 LFP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PER도 다른 소재업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다.

오미크론으로 주가가 출렁거린다면 매수의 기회로 삼자.

 

천보가 11월 16일에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실시했다. 

IR자료를 리뷰해보자.

천보_IR_20211116.pdf
2.64MB

 

천보는 4가지 사업을 한다. 과거에는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매출 비중이 높았으나, 이제는 엄연히 2차전지 소재 매출이 높아졌고, 글로벌 2차전지 전해질 부분 탑클래스 업체라고 보면 된다. 

천보가 생산하는 2차전지 소재는 전해액의 핵심물질인 전해질염(Lithium Salts)과 2차전지 성능향상을 위해 전해액제조시 첨가하는 전해액 첨가제(Additives) 2개가 있다. 

 

 

천보는 첨가제 시장에서 세계 1위다. 전해질 시장의 점유율도 IR자료에는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삼성증권의 조사에 의하면 글로벌 1위다.

 

천보는 100%자회사 천보BLS를 설립하여 차세대 전해질인 F전해질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을 짓는다. 그리고 첨가제 공장도 증설을 통하여 생산량을 늘린다. 

 

천보의 증설계획이다. 

전해질과 첨가제를 합한 현재 Capa가 3520톤이다. 2023년에는 3배 수준인 14000톤, 2025년에는 6배 수준인 2만톤까지 생산량을 늘린다. 2030년까지는 12만톤까지 생산량을 늘린다고 예상하고 있다. 

이 자료를 가지고 앞으로 천보의 매출성장도 예측가능하다. 

 

천보 수출 비중을 보면 수출액이 내수판매 규모보다 더 크다. 수출액의 거의 대부분은 중국업체라고 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LFP배터리 시장이 와도 천보는 만사오케이다. 

천보가 이번에는 첨가제 공장을 증설한다.

첨가제는 2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천보가 증설하는 첨가제는 FEC와 VC다.

증설배경은 최근 중국 화학회사들의 가동 중단으로 FEC와 VC의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물량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전해액 업체에서 천보에 공급을 요청하였기 때문이다.

업체들은 한국, 일본, 중국업체들인데 중국업체들이 먼저 요청하여 협의가 완료되었다고 한다. 이 말은 즉, 이미 증설물량을 받아줄 업체가 정해져있는 것이다.

천보는 첨가제 공장증설로 인해 2023년부터 첨가제 매출이 추가 발생한다. 2025년에는 3000억원의 매출이 첨가제로부터 나온다.

 

2차전지 전해질 기업 천보가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FEC(Fluoroethylene Carbonate)와 VC(Vinylene Carbonate) 제조공장을 짓는다.

천보는 새만금 산업단지 내 3만4200㎡ 부지를 확보해 2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FEC와 VC는 2차전지의 계면저항 감소와 이온전도도 향상 및 열화억제, 안전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전해액 첨가제다. 천보는 구체적으로 오는 2025년까지 연간 1만톤 규모의 FEC와 VC제조공장을 건립하고, 1단계 공장이 완료되는 오는 2023년 상반기에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사측은 완공되는 2025년부터 FEC와 VC에서 최소 연 300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 7월에도 자회사 '천보BLS'로 새만금 산단 내 17만1136㎡ 부지에 총 5125억원 이상을 투자해 연간 2만톤 규모의 LiFSl제조설비를 신설한다는 투자협약을 발표했다.

천보는 EV용 중대형 리튬 2차전지의 차세대 전해질인 LiFSI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2차전지 전해질 전문 회사다. 지난 2019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117_0001653961&cID=10401&pID=10400 

 

천보,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제조공장 건립

[서울=뉴시스] 이승주 기자 = 2차전지 전해질 기업 천보(278280)가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FEC(Fluoroethylene Carbonate)와 VC(Vinylene Carbonate) 제조공장을 짓는다

www.newsis.com

 

 

 

 

교보증권에서 나온 천보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6_교보.pdf
0.56MB

천보의 기존 첨가제 사업은 큰 비중이 없었는데 이번 증설로 인해서 사업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되었다. 특히 고객사의 요청으로 증설한만큼 2차전지 시장이 커지면 향후 공급물량이 더 커질 수 있다.

 

천보는 F전해질 공정혁신으로 가격을 절감시켜 P전해질과의 가격차이가 10% 수준에 불과하다. F전해질은 천보가 공격적인 증설을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전해질이다. 

 

 

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리포트에 첨가제 사업에 관해서 잘 정리되어 있다. 

천보_20211118_한국투자.pdf
0.38MB

 

천보가 증설하는 첨가제인 VC와 FEC는 전세계에서 몇몇 업체에서만 생산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천보가 유일하다. 중국 첨가제 사용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VC는 LFP전지에서 NCM전지보다 2배 이상 많이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전해액 업체에서 먼저 요청한 것이 어느 정도 설명이 된다. 으로 추정된다. 

 

천보의 증설 스케줄은 F전해질, P전해질 그리고 추가적으로 VC, FEC 첨가제를 보면 된다.

첨가제 증설로 인해 2023년에는 첨가제 매출로만 1000억원 수준의 매출이 예상된다. 

 

요새 천보에 관한 리포트가 자주 나온다. 그만큼 여러 증권사에서 천보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해질 세걔점유율 1위, 국내유일 첨가제 대량생산 기업인 천보는 아직도 성장 중이다.

 

카카오페이증권에서 나온 천보 리포트를 보자.

큰 포인트는 없는 리포트니 천보에 대해 잘알면 이 리포트는 패스해도 된다.

천보_IR_20211115_카카오페이.pdf
0.46MB

 

 

천보의 지역별 매출을 보면 중국이 42%로 가장 높고, 그다음이 국내로 37%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중국의 LFP배터리가 대세가 되어도 유리하고, 한국의 NCM계열 배터리가 대세가 되어도 유리하다는 것이다.

 

 

천보의 증설스케줄이다.

올해 대비 2023년에 Capa가 2배 들어난다. 이 리포트에는 언급되어 있지않지만 궁극적으로 2030년에는 현재 대비 거의 10배 이상 늘어난다.

 

천보의 주가 상승세가 거침없다. 2차전지 사업의 매출이 성장이 가파른 까닭이다. 

여러 증권사에서 나온 리포트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리뷰해보자.

 

신한금융투자에서 나온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2_신한.pdf
1.18MB

천보는 전해질 제품별 성장률이 가파르다. 천보의 미래아이템은 F전해질인데 아직 증설효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성장률이 63%에 달한다. 

천보가 현재 증설중인 Capa는 지금의 10배 이상이다. 

 

삼성증권에서 나온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2_삼성.pdf
0.75MB

P전해질의 매출상승은 원재료 가격의 상승과 증설효과가 반영되기 했기 때문이다. 4분기에는 증설효과가 완전히 반영되기 때문에 매출이 3분기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투자에서 나온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2_하나.pdf
0.50MB

천보는 LFP시장의 성장에는 더 큰 수혜를 받는다. 천보의 주고객사가 중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천보는 2차전지의 성장 속에서 더 배터리성능을 향상시키는 전해질 및 첨가제를 제조하기 때문에 모든 셀메이커들에게 필요한 소재다. 

2차전지 전체시장의 성장동력을 그대로 다 받을 수 있는 기업이 바로 천보다. 

 

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2_한국투자.pdf
0.27MB

원재료 공급이슈로 인해 전해액 생산업체들은 장기공급계약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천보가 새만금에 대규모로 증설하고 있는 물량은 장기공급계약으로 체결될 가능성이 크다. 새만금에 공장증설을 요청한 업체가 전기차 시장이 가장 큰 중국업체들인 CATL과 BYD였으니 천보의 전해질은 빨리 확보해놓지 않으면 나중에는 사가려고 해도 사갈수 없을 수도 있다. 

 

DB금융투자에서 나온 리포트를 보자.

천보_20211112_DB.pdf
0.31MB

천보의 가치는 다른 2차전지 소재기업들에 비해서 저평가되었다. 그 말인즉 PER기준으로 보면 아직도 업사이드로 최소 30%는 더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2차전지소재업체들의 성장은 아직도 끝이 난것이 아니다. 업사이드는 위로 아직도 많이 열려있는 셈이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할 때까지 2차전지 소재 기업 하나는 최소한 담고가야 한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싼 소재기업이 천보고 성장여력이 가장 높아보이는 기업도 천보다. 

신한금융투자에서 나온 2차전지 산업의 2022년 전망에 관한 리포트를 읽어보자.

2차전지_압축_포트폴리오로_대응_ElectronicEquip_20211029_Shinhan_745913.pdf
1.88MB

 

올해는 중국의 전기차 성장률이 매서웠다. 2019~2020년 간 매년 90만대 정도 판매되었으나 올해는 무려 240만대 이상 판매되어 엄청난 성장률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2차전지 소재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한 까닭은 미국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의 수혜를 본 것이다. 

 

2022년은 유럽의 성장이 가파를 전망이다. 전통 자동차 메이커들의 전기차 공급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2022년 유럽 전기차 시장은 71.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데, 현지 2차전지 Capa 증가율은 38%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완성차 업체들의 내재화 이슈를 고려하더라도 한국 2차전지 업체들의 성장여력이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다. 

 

주요 완성차업체들의 파트너를 보면, 한국셀업체들의 위상을 알 수 있다. 

 

LFP 배터리는 3가지 리스크 때문에 국내셀업체에게 큰 위협은 안된다. 

 

신한금융투자의 2022년 탑픽은 안정적인 실적과 시장의 성장속도보다 빠른 성장성을 지닌 제품을 지닌 두 업체다. 

양극재의 에코프로비엠과 전해질첨가제의 천보다.

두 업체 모두 두 말하면 잔소리일 정도로 탄탄하다. 특히 천보의 전해질 첨가제 경우는 LFP배터리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더 매력적이다. 천보의 큰 고객 중 하나가 바로 CATL이기 때문이다. 

하이투자증권에서 나온 2차전지 리포트를 읽어보자.

2차전지_NCM으로_LFP를_이기는_전략_ElectronicEquip_20211025_HI_744172.pdf
0.61MB

 

 

지난주 2차전지주의 하락은 테슬라가 모든 차종에 LFP배터리를 채택할 계획이라는 기사가 나왔기 때문이다.

한국 2차전지 업체는 고성능의 NCM/NCA 배터리를 생산하고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테슬라의 이러한 행보로 인해 성장성에 물음표가 생겼기 때문이다. 

 

LFP의 장점은 무엇보다 값싼 가격이다. 

하지만 국내업체들의 NCM/NCA배터리 가격은 하이니켈일수록 결국 가격이 낮아져서 LFP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즉, LFP의 최대장점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리고 LFP는 주행거리가 300~400km로 짧다. 

결국 중장기적으로 성능이 뛰어난 NCM/NCA 배터리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주력이 될 가능성이 여전히 크다. 

 

LFP는 중국에서 국가적으로 밀어주고 있다. 이에 대항할 수 있는 기업은 전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기업은 한국기업이 잘하는 것을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기존의 NCM/NCA배터리다.

2차전지주는 잠깐의 조정을 거치고 다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산업성장의 이제 겨우 시작점이다. 

한국투자증권에서 나온 천보 리포트를 읽어보자.

한국투자증권_천보_20211014074710.pdf
0.53MB

 

천보의 F전해질 주고객사는 CATL과 BYD다.

CATL은 현재 글로벌 1위 배터리셀 제조업체고 BYD는 4위다.

중국 내수만으로도 이들의 판매량은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50%에 육박할 정도다. 그렇기 때문에 천보가 믿고 F전해질에 대해 공격적인 증설을 단행하고 있는 것이다.  

 

천보의 2차전지 매출을 보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거의 2배씩 증가한다. 증설효과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천보가 P전해질에 대해서도 추가 증설을 한다면 또다른 업사이드가 생긴다. P전해질 가격은 최고가를 경신중이다. 

+ Recent posts